혈관이 노쇠하면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은 혈관이 딱딱해지는 동맥경화입니다.
혈관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 호모시스테인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과학자들이 주목하는 것은 장 건강과 심혈관질환의 상관성입니다.
이에 장과 관련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음식인 마늘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동맥경화의 주범 TMAO
장하고 혈관 사이의 연관성에 의문을 품는 분이 있을 텐데 이는 TMAO라는 물질 때문입니다.
TMAO 관련하여 궁급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 참조
2021.05.16 - [건강] - 계란과 전립선암 연관성
계란과 전립선암 연관성
단백질 보충이나 근육을 찌울 때 계란을 매일 섭취하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많은 사람들이 계란은 안전한 완전식품으로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계란과 관련해서 항생제, 살린 촉진제,
wlalsbxmfhsdmstkrl.tistory.com
콜린하고 L-카르니틴이 다량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장내의 균들에 의해 TMA라는 물질이 생성되고 간에서 TMAO물질로 바뀌게 됩니다. 그런데 TMAO물질은 동맥경화 및 심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한국인이 섭취하는 음식 중에서 콜린 함량이 높은 음식은 동물의 간이며 다음으로 메추리알, 계란, 유유 등의 유제품이 높으며 강력분, 밀가루, 보리 등 정제된 전분에 콜린 함유량이 꽤 높게 나왔습니다.
L-카르니틴의 경우 육류에 많이 들어있으며 놀라운 건 생선에는 TMAO 자체 함량이 높게 나온 것입니다. 결국 채식을 하지 않고서는 우리가 쉽게 접하는 많은 음식들이 TMAO를 다량 생성시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동맥경화와 심장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과학자와 연구원들은 TMAO를 어떻게 컨트롤할 수 있는지 많은 연구들을 진행해 왔습니다. 처음에는 TMAO를 생성하는 균을 조절하기 위한 항생제 개발을 시도했는데 내성이나 부작용 때문에 다른 방향으로 접근하게 되었습니다. 다음에는 나쁜 균을 제압하기 위해 프로바이오틱스를 개발하는 것을 시도하였는데 아직까지 정확하게 어떠한 균이 TMAO를 생성하는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마늘과 알리신
2015년도 타이완 대학교 식품공학과 연구팀에서 진행한 실험이 있습니다. 쥐들을 크게 4그룹으로 나누어 첫 번째 그룹은 일반식, 두 번째 그룹은 카르니틴 식, 세 번째 그룹은 카르니틴 식과 알리신, 그리고 네 번째 그룹은 일반식 + 알리신을 6주 동안 섭취하게 하였습니다. 이를 비교했더니 카르니틴 식을 섭취한 그룹에서 TMAO 수치가 다른 그룹보다 적게는 4배 많게는 22배까지 높았습니다.
반면 알리신과 카르니틴 식을 같이 섭취한 그룹의 경우 일반식을 한 그룹과 거의 유사한 수치로 나왔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알리신과 어떠한 고기를 먹어도 TMAO 수치가 거의 오르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알리신이 풍부한 마늘이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기능성 식품으로 쓰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아직 더 많은 연구결과가 나와야겠지만 우리 민족이 괜히 고기를 먹을 때 괜히 마늘과 같이 먹는 게 우연이 아닌 것 같습니다.
마늘 섭취 방법
위의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삼겹살을 먹을 때는 꼭 마늘과 함께 드셔야 합니다. 성인 마늘 섭취 권장량은 2쪽/일입니다. 마늘은 생으로 먹을 때나 익혀서 먹을 때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마늘의 알리신은 마늘의 톡 쏘는 매운맛의 생분이기에 익혀서 먹는 것보다 생으로 먹을 때 함유량이 높습니다. 마늘이 상처를 입었을 때 스스로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낸 물질이기에 통마늘보다는 다지고 으깨서 먹었을 때 알리신의 함유량이 높습니다.
고기와 함께 먹을 때는 마늘 먹는데 부담이 없지만 생으로 먹을 때는 먹기 껄끄러울 수 있습니다.
특히 위장이 약하신 분들은 곧장 속이 뒤집어지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평상시에 다진 마늘이 듬뿍 들어가 있지만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게 김치입니다.
알리신은 마늘을 포함해서 파, 부추, 달래, 양파에도 다량 함유되어 있기에 배추김치를 포함해서 파김치, 부추김치 두루두루 드시는 게 효과적입니다.
장내균총을 조정하여 TMAO를 과하게 생성되지 않는 게 동맥경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지혈증에 좋은 키위의 모든것 (0) | 2021.05.18 |
---|---|
딸기 효능, 고르는법, 주의점 (0) | 2021.05.17 |
계란과 전립선암 연관성 (0) | 2021.05.16 |
간에 좋은 콩나물의 모든것 (0) | 2021.05.13 |
간 건강에 좋은 음식 3가지 (0) | 2021.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