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치약 색깔 띠와 성분 요약

by 이세상에축복을 2021. 4. 29.
반응형

목차

    치약 성분을 뜻하는 띠의 비밀

    치약 뒷부분의 띠 색깔에 따라 치약의 함유된 성분이 다르다는 주장이 SNS상에서 널리 퍼진 적이 있습니다.

    치약

    빨간색 : 천연 + 화학

    검은색 : 화학성분

    초록색 : 천연성분

    파란색 : 의학성분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제품 상당수가 검정 줄 표시로 저렴한 상품이라고 주장한 뒤 초록색 치약을 사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화학성분이 많이 들어간 검정 줄 표시 치약에는 몸에 안 좋은 계면활성제 성분이 많다느니 해서 여러 번 행궤야하고, 초록 줄 표시 치약은 천연성분이라 덜 헹궤도 상관없다느니 등등의 말이 있습니다. 얼핏 보면 초록띠 치약이 좋게 들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로 이게 성분의 차이를 나타내는 걸까요?

    성분과 상관없는 아이마크

    아이마크_포장지로션_아이마크
    치약아이마크

    색띠는 치약의 성분과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치약 뒷부분의 줄 표시는 아이마크(Eye Mark)라 불리며 보통 튜브 계열의 밀봉 과정이 필요한 상품에 나오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세안제, 샴푸, 핸드로션 등 심지어 아이스크림 포장지에도 나타나 있습니다. 아이마크는 센서가 정가운데로 인식할 수 있는 표시의 일환으로 사용됩니다. 튜브 계열의 상품의 내용물을 치우침 없이 알맞게 주입하기 위해 있는 것입니다. 보통 센서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바탕색과 다른 계열의 색을 사용하는데 대부분 흰 바탕에 검정 잉크를 입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치약의 성분은 치약의 성분표로

     식약처 의약외품 법에 따르면 치약의 주요 성분은 포장용기에 반드시 표기해야 됩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치약의 성분을 알려면 성분표를 살펴봐야 합니다. 그런데 일반인들이 치약의 성분을 보고 치약의 주요 특성을 알 수 있을까요?

    복잡한_무지

    초산토코페롤, 트리클로산, 침강탄산갈슘, 이산화규소 등등 아무것도 모르고 화학 성분 읊조리는 게 고작일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치약의 성분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치약의 구성성분

    치아 부분에 있어 구강점막은 피부보다 흡수율이 좋아 우리 상태에 적합한 치약을 고르시는 게 좋습니다. 치약을 칫솔을 통해 치아 및 잇몸 사이를 구석구석 닦아내기 때문에 치약의 어떠한 성분이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를 알아보고 적절한 치약을 고르시는 게 좋습니다.

    치약은 연마제, 수분, 습윤제, 계면활성제, 불소화학물 등의 여러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치약_주성분
    치약 주요 구성성분표

    치약의 대부분이 연마제(Abrasive), 수분(water), 습윤제(humectants)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적어도 치약의 70% 이상은 연마제, 수분, 습윤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연마제

    연마제는 물리적으로 치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 역할을 합니다.

    연마제는 치아 표면을 미세하게 마모시켜 치아 광택을 내거나 치아의 미백을 살리는 효과를 냅니다. 즉 표면의 착색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밖에도 치석과 치태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치약의 연마제의 종류에 따라 치약의 ph가 달라집니다. 연마제가 무르거나 약하면 착색 제거 효능이 떨어지며, 연마제가 강하면 치아나 잇몸에 강한 자극을 줘 염증 일으킬 수 있어 평소에 이가 시린 분들은 연마제가 많이 함유된 치약을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알갱이_큰_치약
    입자가 큰 치약

    치약의 연마력은 RDA(Relative Dentin Abrasion, 비교 상아질 마모도) 값으로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RDA 표기 의무 규정이 없어 RDA 표기가 없는 치약이 대부분입니다.

    RDA 수치 연마력 강도 특징 주요 상품
    50미만 치주질환, 치아과민증 죽염, 페리오 A, 시린메드
    50~100 일반인 자일덴트, 후레쉬, 메디안프로, 동의생금, 클라이덴
    100이상 이가 누렇거나 미백을 갖고싶은 분 브렌닥스3, 글리스터

    연마제는 덴탈타입실리카, 침강탄산칼슘, 함수이산화규소, 무수인산수소칼슘, 이산화규소, 무수인산칼슘 등이 있습니다. 연마제는 주로 탄산칼슘이나 이산화규소를 자주 사용합니다. 탄산칼슘의 입자가 크고 거칠며 이산화규소 입자 크기는 작고 둥근 형태입니다. 이 중에서 덴탈타입실리카가 제일 고운 입자입니다. 연마력이 셀수록 입자의 크기가 크고 거칠어 치아나 잇몸에 손상을 끼칠 수 있습니다.

    *꼭 고운 입자라고 좋은 연마제가 아닙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연마제가 함유된 치약을 고르시면 됩니다.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이 잘 섞이게 활성화해주는 물질로 치아에 플라그의 표면장력을 낮춰 잘 떨어질 수 있게 해 줍니다. 치약이나 세제를 비비면 거품이 나는데 이는 계면활성제가 거품 형성을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치약의 계면활성제로 소듐라우릴셀페이트(SLS),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LES),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LS) 등이 있습니다.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는 점막 자극 및 건조감 유발하는 문제점 이외에 체내 농축이라는 발암물질 논란이 있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 최근에는 (화학)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게 추세로 친환경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대세입니다. 구강점막 질환이나 구강 내염이 있는 분들은 친환경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치약이 좋습니다. 특히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린산나트륨(그냥 앞에 코코 붙인 거 보세요)이 코코아에 유래되고 안전성이 검증된 친환경 계면활성제입니다.

    불소

    불소원샷

    충치를 예방하기 위해 치약에 불화나트륨 또는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불화아민 등의 불소화합물이 첨가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같은 경우 불소 농도가 1000~1100ppm이며, 유럽 국가에서는 1400~1500ppm의 농도를 사용합니다. 국내의 경우 일부 SNS 매체에서 불소의 위험성을 강조하면서 저불소 및 무불소 치약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소 함량이 1000ppm 이하일 경우 충치예방에 효과가 없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