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소화제 종류와 특징

by 이세상에축복을 2021. 5. 4.
반응형

소화제는 소화불량을 완화해주거나 소화를 도와주는 약입니다. 소화효소제, 위장관 운동 촉진제, 가스 제거제, 제산제 등의 다양한 소화제가 있어 자신에게 알맞은 소화제를 골라야 합니다. 만약 소화제를 2주 이상 복용하여 증상 개선이 되지 않을 시에 소화제 복용을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하셔야 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소화제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화불량

 

목차

    소화불량

    소화불량은 위, 십이지장 등의 소화기관에서 발생하는 모든 소화장애 증상을 말하며,  속 쓰림, 메스꺼움, 복부 통증, 조기 포만감, 조기 만복감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음식 섭취 전, 후 또는 섭취와 상관없이 소화 장애 증상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을 호소할 때를 말하기도 합니다.

     소화불량은 기질성 소화불량(organic dypepsia)과 기능성 소화불량(functional dyspsia)로 나눠집니다. 기질성 소화불량은 내시경이나 소화성 궤양 또는 위암 등의 이유로 소화불량이 일어난 것이니 하루빨리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은 내시경이나 초음파 검사 등으로 별다른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은 소화불량입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자신의 식습관이나 가족력 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소화제 약리 작용

    소화제는 소화불량을 완화시키는 약물로서 소화효소제, 위장관운동조절제, 가스 제거제, 소화성궤양치료제 등으로 구분됩니다.

    소화 효소제

    소화제

    소화효소제는 신체에 인위적으로 음식을 분해하는 소화효소를 주입시켜 소화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대부분 돼지 췌장 등에서 제조되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들로 이뤄져 있습니다. 소화효소제는 필요시 1~2정 복용하시면 됩니다. 대부분 알약 형태로 되어있어 위산을 거쳐 장까지 소화효소를 전달하기 위해 코딩해 놓았으므로 알약을 빻아 가루로 드시는 것은 효과를 제대로 누릴 수 없을 것입니다.

    위장관 운동 촉진제

    복용법

    위장관 운동 촉진제는 위장 운동을 촉진 시켜 음식물의 소화를 원활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속이 더부룩하여 가스가 차있으며 신물이 올라온다면 스트레스나 만성적인 증상으로 위장 운동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럴 때 위장관 운동 촉진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소화 효소제와 병용하여 복용하는 게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사회 초년생이 겪는 불편한 자리의 식사자리나 식욕이 좋지 않을 때 등의 상황에서 위장관 운동 촉진제를 복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알약과 시럽 형태가 있으며 식전에 복용해야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가스 제거제

    가스 제거제는 가스 제거와 함께 점액의 표면 장면을 감소시켜 공기방울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위장이 예민하여 배에 가스가 차거나 가스 때문에 복통을 유발할 경우 복용하면 증상을 완화시켜 줍니다. 알약 시럽제 등의 다양한 제형이 있으며 수면내시경 검진 정에 가스콜을 주로 복용합니다.

    편의점 소화제

    베아제베나치오
    활명수베아제_

     

    상품 특징 복용방법 형태
    닥터베아제 기름진 음식 섭취시 소화가 안될때 성인 1회 1~2정, 1일 3회 식후 복용 알약
    훼스탈 골드 성인 1회 1정, 1일 3회 식후 복용
    베아제 탄수화물 위주의 과식으로 소화가 안될때 성인 1회 1정, 1일 3회 식후
    훼스탈 플러스 성인 1회 1~2정,, 1일 3회 식후 복용
    만 8세~ 15세미만 : 1일 1정,, 1일 3회 식후 복용
    까스활명수 위 운동 촉진제 1일 3회 식후 복용 액상소화제
    미인활명수
    베나치오

    액상소화제 : 위염이나 임산부들에게 주의

    알약          : 돼지고기에 민감하신 분들 주의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스 종류별 효능 정리  (0) 2021.05.06
    공황장애 증상 알아보기  (0) 2021.05.05
    진통제의 종류와 주의점 알아보기  (0) 2021.05.03
    자일리톨의 정확한 효능  (0) 2021.05.01
    치약 색깔 띠와 성분 요약  (0) 2021.04.29

    댓글